개정 전 | 개정 후 | |
외래어에 붙을 때 | 그리스 어, 그리스 인, 게르만 족, 발트 해 나일 강, 에베레스트 산, 발리 섬 우랄 산맥, 데칸 고원, 도카치 평야 |
그리스어, 그리스인, 게르만족, 발트해 나일강, 에베레스트산, 발리섬 우랄산맥, 데칸고원, 도카치평야 |
비외래어에 붙을 때 | 한국어, 한국인, 만주족, 지중해, 낙동강, 설악산, 남이섬, 태백산맥, 개마고원, 김포평야 |
|
  | ◐ 관련 글 ◑ |   | ◐ 100일간 인기 글 ◑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
  | ◐ 관련 글 ◑ |   | ◐ 100일간 인기 글 ◑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
  | ◐ 관련 글 ◑ |   | ◐ 100일간 인기 글 ◑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상장이란 것을 정말 오래간만에 받았다. 2011학년도 강의 우수 교수로 선정되어 주는 것이란다.
사실 강의를 한다는 것은 여간 부담스러운 일이 아니다. 자신의 짧은 경험과 지식을 나보다 더 뛰어날지도 모르는 여러 사람을 대상으로 펼쳐 보이는 일이 매번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강의를 오래 하다 보면 타성에 젖어 더 소홀해지기도 하고, 더 가볍게 생각하기도 하고, 더러는 더이상 하기 싫지만 어쩔 수 없이 한다고 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도 아직은 강의하는 일이 재미있고, 그 시간만큼은 즐겁다.
이렇게 말하면서도 반성할 점이 많은 것도 잘 알고 있다. 갈수록 교수자 중심의 강의가 아니라 수용자인 학생 중심의 강의로 바뀌고 있는 추세이고, 교수자가 학생을 평가하는 것뿐만 아니라. 학생도 교수를 평가하고, 일부 사례이기는 하지만, 교수자가 또 다른 교수자를 평가하는 제도가 퍼져 나갈 가능성도 높다.
이런 변화가 오히려 강의의 질과 특수성, 개성, 깊이 등을 저해할 수 있는 우려가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환경이 달라지고 있고, 교육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는 과정이므로 어쩔 수 없는 면도 있다.
일단 상을 받아 기분은 좋지만,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상투적인 각오보다는 그동안 "우수한 강의"를 했는지에 대한 반성과 앞으로도 그런 평가를 받을 기회가 있을지에 대한 두려움이 함께 있기도 하다.
그리고 좋은 말로는 지식의 전달이라고 하는 강의이지만, 강의실을 넘어 "교육과 지도를 받는" 학생들의 기대와 요구에 어떻게 제대로 부응할 수 있는 지도 걱정이다.
아무튼, 내가 하고 있는 일에 대해 별거 아니지만, 인정을 받는다는 일이 기쁘고, 특히 가족들에게 고맙다는 생각이 든다.
오늘은 그냥 일기 겸 자랑 겸......
|
  | ◐ 관련 글 ◑
|
  | ◐ 100일간 인기 글 ◑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시행 2011. 7. 6.) 제2장 제2조(정의) 3.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란 「전기통신사업법」 제2조제8호에 따른 전기통신사업자와 영리를 목적으로 전기통신사업자의 전기통신역무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하거나 정보의 제공을 매개하는 자를 말한다.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시행 2011. 7. 6.) 제6장 제46조(집적된 정보통신시설의 보호) ① 타인의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집적된 정보통신시설을 운영·관리하는 사업자(이하 "집적정보통신시설 사업자"라 한다)는 정보통신시설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른 보호조치를 하여야 한다. ② 집적정보통신시설 사업자는 집적된 정보통신시설의 멸실, 훼손, 그 밖의 운영장애로 발생한 피해를 보상하기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보험에 가입하여야 한다.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시행 2011. 7. 6.) 제4장 제25조(개인정보의 취급위탁) ①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와 그로부터 제24조의2제1항에 따라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자(이하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등"이라 한다)는 제3자에게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보관·처리·이용·제공·관리·파기 등(이하 "취급"이라 한다)을 할 수 있도록 업무를 위탁(이하 "개인정보 취급위탁"이라 한다)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 모두를 이용자에게 알리고 동의를 받아야 한다.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사항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전기 통신 사업자
1. 개인정보 취급위탁을 받는 자(이하 "수탁자"라 한다)
2. 개인정보 취급위탁을 하는 업무의 내용
전기통신사업법(시행 2010. 9. 23.) 제1장 제2조(정의)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전기통신"이란 유선·무선·광선 또는 그 밖의 전자적 방식으로 부호·문언·음향 또는 영상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말한다.
2. "전기통신설비"란 전기통신을 하기 위한 기계·기구·선로 또는 그 밖에 전기통신에 필요한 설비를 말한다.
3. "전기통신회선설비"란 전기통신설비 중 전기통신을 행하기 위한 송신·수신 장소 간의 통신로 구성설비로서 전송설비·선로설비 및 이것과 일체로 설치되는 교환설비와 이들의 부속설비를 말한다.
4. "사업용전기통신설비"란 전기통신사업에 제공하기 위한 전기통신설비를 말한다.
5. "자가전기통신설비"란 사업용전기통신설비 외의 것으로서 특정인이 자신의 전기통신에 이용하기 위하여 설치한 전기통신설비를 말한다.
6. "전기통신역무"란 전기통신설비를 이용하여 타인의 통신을 매개하거나 전기통신설비를 타인의 통신용으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7. "전기통신사업"이란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을 말한다.
8. "전기통신사업자"란 이 법에 따른 허가를 받거나 등록 또는 신고(신고가 면제된 경우를 포함한다)를 하고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자를 말한다.
9. "이용자"란 전기통신역무를 제공받기 위하여 전기통신사업자와 전기통신역무의 이용에 관한 계약을 체결한 자를 말한다.
10. "보편적 역무"란 모든 이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적절한 요금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기본적인 전기통신역무를 말한다.
11. "기간통신역무"란 전화·인터넷접속 등과 같이 음성·데이터·영상 등을 그 내용이나 형태의 변경 없이 송신 또는 수신하게 하는 전기통신역무 및 음성·데이터·영상 등의 송신 또는 수신이 가능하도록 전기통신회선설비를 임대하는 전기통신역무를 말한다. 다만, 방송통신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전기통신서비스(제6호의 전기통신역무의 세부적인 개별 서비스를 말한다. 이하 같다)는 제외한다.
12. "부가통신역무"란 기간통신역무 외의 전기통신역무를 말한다.
전자금융거래법(시행 2010. 11. 18.) 제1장 제2조(정의) 5. "전자금융보조업자"라 함은 금융기관 또는 전자금융업자를 위하여 전자금융거래를 보조하거나 그 일부를 대행하는 업무를 행하는 자 또는 결제중계시스템의 운영자로서 「금융위원회의 설치 등에 관한 법률」제3조에 따른 금융위원회(이하 "금융위원회"라 한다)가 정하는 자를 말한다.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시행 2010. 11. 18.) 제1장 제2조(정의) 4. "통신판매중개"라 함은 사이버몰(컴퓨터 등과 정보통신설비를 이용하여 재화등을 거래할 수 있도록 설정된 가상의 영업장을 말한다. 이하 같다)의 이용을 허락하거나 그 밖에 총리령이 정하는 방법에 의하여 거래 당사자간의 통신판매를 알선하는 행위를 말한다.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
  | ◐ 관련 글 ◑ |   | ◐ 100일간 인기 글 ◑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
  | ◐ 관련 글 ◑ |   | ◐ 100일간 인기 글 ◑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
  | ◐ 관련 글 ◑ |   | ◐ 100일간 인기 글 ◑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
  | ◐ 관련 글 ◑ |   | ◐ 100일간 인기 글 ◑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필요하신 해당 학부모나 학생분들은 출력해서 풀어 보세요.
|
  | ◐ 관련 글 ◑ |   | ◐ 100일간 인기 글 ◑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마셜 매클루언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2003년 11월 13일
2003년 11월 13일
|
  | ◐ 관련 글 ◑ |   | ◐ 100일간 인기 글 ◑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블루투스(Bluetooth) 로고
![]() Haglaz 또는 Hagalaz | ![]() Berkanan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is a computerized telecommunications device that provides the customers of a financial institution with access to financial transactions in a public space without the need for a human clerk or bank teller. On most modern ATMs, the customer is identified by inserting a plastic ATM card with a magnetic stripe or a plastic smartcard with a chip, that contains a unique card number and some security information, such as an expiration date or CVC (CVV). Security is provided by the customer entering a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They are sometimes referred to as "ATM machines," a technically redundant term.
British actor Reg Varney using the world's first ATM in 1967, located at a branch of Barclays Bank, Enfield. The system was developed by De La Rue.
* 세계 최초의 기계식 현금 출금기: 미국 뉴욕 시티 뱅크(City Bank of New York)주1가 1939년 뉴욕에 설치. 사용자가 거의 없어 6개월만에 철수.
* 우리나라 최초의 ATM은 1990년 조흥은행주2 명동 지점에 설치.
|
  | ◐ 관련 글 ◑ |   | ◐ 100일간 인기 글 ◑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The MITS Altair 8800b was introduced in mid 1976 as the successor to the original Altair 8800 that appeared on the cover of Popular Electronics in January 1975. It had an improved front panel, larger power supply, an 18 slot mother board. The price was $840 for a kit and $1100 for an assembled unit. A typical hobbyist system with 16K of memory, a video display, a cassette tape data storage, and BASIC language software would be around $2000.
January 1975 Popular Electronics with the Altair 8800 computer
|
  | ◐ 관련 글 ◑
|
  | ◐ 100일간 인기 글 ◑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학자들마다 다른 견해를 가지고는 있지만, 전자 상거래(Electronic Commerce)는 1994년 10월 25일에 Hotwired.com에 실린 AT&T 배너 광고로부터 시작된다.
참고 글 1: "WORLD'S FIRST BANNER AD," thelongestlistofthelongeststuffatthelongestdomainnameatlonglast.com.
세계 최초의 웹 배너 광고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
  | ◐ 관련 글 ◑
|
  | ◐ 100일간 인기 글 ◑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Warchalking is the drawing of symbols in public places to advertise an open Wi-Fi wireless network.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Charlotte's Cell Phone] Nokia and the University of Cambridge are using protein chains found in insulin to create a material that approaches the unmatched strength of spider web silk. Potentially, this substance could be melded with a resin-like substrate to build super-flexible shells for cell phones.
[Like Pull Taffy, but Not Sticky] Forget about armbands and belt holsters for your mobile device. The material being developed by Nokia and the University of Cambridge is so flexible that a phone made with it could, potentially, be wrapped around your wrist after you've finished talking.
[One Contagious Battery]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researcher Angela Belcher is building a battery fueled by viruses. Harmless to humans, the viruses act as the carrot that lures molecules of gold and other elements together, catalyzing the chemical reactions that produce energy in a battery. Belcher's concept may allow for batteries that are tiny and flexible. One of her prototypes is not much bigger than a penny.
[Harvesting a Laptop from Crops] Three electronics makers are testing a new bioresin from Cereplast (CERP) that's made in part from corn, wheat, and tapioca. Cereplast has begun producing the material, which can be used to make casings for devices such as laptops and mobile phones, at a plant that opened in January. The Seymour (Ind.) factory should pump out half a billion pounds of the resin when it's running at full throttle in early 2010.
[Silky Sensors] Rajesh Naik, biotechnology research lead at the U.S. Air Force Research Laboratory, is developing a thin film made from silkworm silk and enzymes that can act as an environmental sensor. Applied as a coating to everyday gear such as an MP3 player, the film could be used to analyze your sweat for signs you're coming down with the flu, or to check the air for contaminants you may be breathing.
[The Building Blocks of Life—and Electronics] Paul Rothemund, senior research associate at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has laid the groundwork for using the DNA of microorganisms to build tiny computer chips. Rothemund is using strands of virus DNA to create intricate patterns that are just one-thousandth of the width of a human hair. The DNA patterns attract tiny nanowires into the same layout, causing them to self-assemble into intricate circuits.
[A Bacterium Never Forgets] Using Rothemund's methods, IBM researchers are using bacterial DNA to create super-dense memory chips that would allow cell-phone users to record hours of video or store a terabyte of data, the equivalent of roughly 1,000 copies of Encyclopedia Britannica.
[The Miraculous Properties of Castor Oil] Fujitsu has developed a new polymer that uses castor oil extracted from the seeds of castor beans. Plastics made with the polymer are super-flexible and can withstand repeated bending. Fujitsu eventually may use it to make small components for notebook PCs and mobile phones.
[Salmon DNA Makes Better Lighting] Andrew Steckl, director of the Nanoelectronics Laboratory at the University of Cincinnati, is using salmon sperm DNA to create a new type of light-emitting diode (LED), the energy-efficient bulb used in everything from watches to Christmas-tree lights. By using DNA strands to isolate more luminophores—the molecules that generate light within LEDs—Steckl can produce LED bulbs that are 10 times brighter and last three to five times longer than current versions.
|
  | ◐ 관련 글 ◑ |   | ◐ 100일간 인기 글 ◑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Flash] http://infosys.iptime.org/for_cantips/attach/1281194144.swf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Some social scientists tell us that media machines are different from mechanical machines in the crucial sense that we take them,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as humans. Our brains, they say, formed and congealed in a time before information machines. Any machine that speaks to us, responds to our symbolized actions, frames pictures, and so forth, we assimilate, in our perceptions, as humans. Byron Reeves and Clifford Nass (1996) term this phenomenon "the media equation." After an extensive series of carefully controlled studies of interactions between human beings and machines, they conclude, "We have found that individuals' interaction with computers, television, and new media are fundamentally social and natural, just like interactions in real life."
몇몇 사회과학자들은 매체 기계들(media machines)이, 우리가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그것들을 인간으로 간주한다는 점에서, 기계적 기계들과는 결정적으로 다르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우리의 뇌가 정보 기계들 이전 시대에 형성되고 응결됐다고 말한다. 우리는 다른 인간과 이야기하고, 상징화된 행위들에 대해 응답하고, 그림을 그리는 등의 일을 하는 기계들을 모두 인간으로 간주한다. 바이런 리브스와 클리포드 내스(1996)는 이 현상을 "매체 등식(the media equation)"이라고 명명한다. 인간과 기계 사이의 상호 작용에 대한 광범위한 일련의 연구들을 행한 후, 그들은 "우리는 컴퓨터, 텔레비전, 그리고 뉴미디어와 개인들의 상호 작용이 실제 삶에서의 상호 작용들과 똑같이 기본적으로 사회적이고 자연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라고 결론짓는다.
|
  | ◐ 관련 글 ◑
|
  | ◐ 100일간 인기 글 ◑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Flash] http://infosys.iptime.org/For_cantips/attach/1193344438.swf
|
  | ◐ 관련 글 ◑
|
  | ◐ 100일간 인기 글 ◑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
  | ◐ 관련 글 ◑ |   | ◐ 100일간 인기 글 ◑ |
  |
![]() |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Comments List
잘 일고 갑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